O - 내가 틀렸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

Created: 2022-03-20

이제는 너무나 유명해진 애착이론의 발달에는 여러 연구자와 치료자가 기여했습니다. 그 중 한 명이 Mary Ainsworth의 제자인 Mary Main 입니다. Mary Main은 종단연구를 통해 부모의 내적작동모델(internal working model)1이 어떻게 영아기의 애착 행동을 예측하는지 밝혔습니다. Ainsworth가 부모-자녀 사이의 외적으로 관찰되는 행동에 초점을 두고 연구했다면, Main은 부모-자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보이지 않는 마음의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을 마련하였고, 부모가 지닌 내적작동모델이 아이의 내적작동모델을 예측한다는 인과관계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Main의 연구에서 안정애착은 하나의 통합된 내적작동모델을 지닌 상태이며, 불안정애착은 양립불가능한 복수의 내적작동모델이 통합되지 못한 채 경합하는 상태에 가깝습니다.2 불안정애착의 내적작동모델에서는 양립하는 정보 중 어느 한쪽은 배제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에 대해 좋은 느낌을 갖게 될 때는 안 좋은 느낌이 완전히 배제되고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 대개 좋기도 하지만 안 좋기도 한 회색지대 어딘가에서 호불호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어느 한쪽을 완전히 배제하면서 맹점을 갖게 되니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에서 편향이나 왜곡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편향이나 왜곡을 갖게 된다 하더라도 1. 내 생각이 불충분함을 고려할 수 있고, 2. 내 생각이나 느낌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함을 알며, 3. 같은 것을 보더라도 다른 사람은 나와 다른 생각이나 느낌을 가질 수 있고 그 역시 타당함을 알 수 있다면 보다 통합된 내적작동모델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Main은 이를 메타인지적 앎(Metacognitive knowledge)라고 부릅니다.

심리평가나 심리상담에서도 이 메타인지적 앎이 중요하고, 이를 평가 및 상담 과정 전반에서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평가는 내담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가설일 뿐이며 내담자 그 자체가 아닙니다. 다른 전문가라면 나와 다른 가설을 가질 수 있고, 내 가설이 현재 내담자를 비교적 정확하게 반영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내담자의 내외적 상황이 변하는 만큼 가설도 변화되어야 합니다.3 이와 비슷하게, 상담을 할 때도 내담자의 마음 상태 및 상담의 방향에 대한 청사진(즉, 사례개념화)을 그려본 후 상담에 임하지만, 상담의 대가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이 있다면 상담에 임할 때는 사례개념화를 잊으라는 것입니다. 사례개념화라는 틀에 갇혀 앞에 앉아 있고 계속 변화 중인 내담자를 못 보게 되는 우를 범하지 말라는 것이죠.4

하지만 실상은 저런 우를 범할 때가 더 많습니다. 내담자에 대해 내가 지닌 생각이 틀렸을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되뇌는 것은 상당한 에너지가 들어가는 작업이고, 통제감을 약화시킴으로써 자신감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취약해지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틀렸다고 인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죠. 많이 배울수록 더 겸손해진다고 하지만, 어떤 분야의 전문가든 간에 이런 취약성을 기꺼이 수용하려는 태도를 취하고자 고군분투하지 않는 사람에게 겸손함이 저절로 찾아올 리 없습니다. 많이 배우기만 한 사람이라면 독선적인 사람이 되겠죠.

심리상담을 하는 사람이라면 메타인지적 앎을 적용하기 위해 늘 깨어 있어야 하고, 내가 틀렸다는 생각이 들 때 이를 인정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확실성과 통제감에 안주하고자 하는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이번 주 내내 들었던 생각입니다.5 상담자도 상담 장면 안에서 때때로 틀리고 내담자로부터 상처받기도 하는 똑같은 인간적 한계를 지니지만, 내담자들에게 이러한 취약성을 적절히 보여줄 수 있다면 내담자가 스스로의 한계와 취약성을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면이 있기 때문에, 상담자로서 내가 틀렸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갖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6

  1. 볼비에 따르면 내적작동모델은 자기, 타인,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정신적 표상으로 생애 초기 양육자와의 관계에 기반함. 메인은 볼비와 다르게, 내적작동모델을 정신적 표상이 아니라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정보에 제약을 가하는 구조적 과정(structured processes)로 본다는 차이가 있음. 

  2. Wallin, D. J. (2007). Attachment in psychotherapy. Guilford Press, p. 40. 

  3. P - 뱀이 허물 벗듯이 사례개념화도 새로운 정보에 맞게 변화를 거듭해야 함 

  4. P - 가설은 잠시 잊고 상담 회기에 집중한다 

  5. P - 유능한 상담자란 

  6. Young, J. E., Klosko, J. S., & Weishaar, M. E. (2003).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The Guilford Press, pp. 403-405. 

Notes mentioning this note


Here are all the notes in this garden, along with their links, visualized as a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