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소원을 적어봐

쓰면 이루어지는 원리

목표를 이루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록입니다. 목표 자체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뚜렷하거나 구체적이지 않아도 좋으니 일단 적습니다. 적고 나면 우리 뇌는 그 목표에 관해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글 잘 쓰는 사람들은 다릅니다. 그들은 우선 쓰고 봅니다. 쓰면 좋은 생각이 떠오르고, 최고로 좋은 생각은 쓰기 시작하면 찾아온다는 것을 압니다. - 내 머릿속 비우기에서 발췌

목표를 적는 것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과 같습니다. 목표를 적었다면, 의식하든 못 하든 ‘어떻게?’라는 질문이 자연스레 따라 옵니다.

올해 제 목표 중 하나는 영어 스피킹 중급에 도달하는 것이고, 어떻게 중급에 도달할 수 있을지 스스로에게 질문했습니다. 스피킹 중급에 도달하려면 당연히 인풋뿐만 아니라 아웃풋이 많아야 하고, 어떻게 아웃풋을 많이 뽑아낼 수 있을까 고민하다 보니 다시 몇 가지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게 되더군요. 그 질문 중 하나가 라이팅과 스피킹 훈련에서 어떤 식으로 방법상의 변화를 줘야 효과적일까 입니다. 4월 말에 했던 질문이고, 기존에 하던 아웃풋 방식이 효과가 적다고 느끼던 차에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입니다. 이 질문을 곱씹다 보니 6개월 동안 아래와 같은 많은 답을 적었습니다.

위 그래프 중 P - 영어로 혼잣말하는 방법, P - 날마다 영어 셀프토크한 것을 녹음해서 기록한다 에서 영감을 얻어 지난 달까지 거의 5개월 동안 혼잣말이든 쉐도잉이든 낭독이든 무엇이라도 영어로 말하는 단톡방을 만들어 다른 한 분과 주중 거의 매일 지속했습니다. 그 노력의 일부가 제 유튜브 채널에 남아 있습니다. 영어로 혼잣말을 한다는 게 쉽지 않아서 중반, 후반에는 암기하여 읊거나 쉐도잉 및 낭독하는 방식 위주로 실행했습니다.

영어로 혼잣말하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을 느꼈고, 다시 질문이 시작됐습니다. 어떻게 하면 영어로 혼잣말을 잘할 수 있을까? 아웃풋을 효과적으로 뽑아내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 그러던 중에 아래 세 가지 내용의 중요성을 깨닫고 어떻게 하면 이 세 기준을 충족하는 나만의 스피킹 훈련을 개발할 수 있을까 다시 생각 중입니다.

  • 맥락 있는 암기
  •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이나 쓰고 싶은 문장을 영어로 수집하는 것
  • 주기적 복습1

올해 초에 단순히 영어 스피킹 중급 레벨에 도달하고 싶다는 목표를 생각하고 기록한 것이, 이렇게 질문에 질문을 낳으며 제 영어 훈련 방식에도 변화를 야기해 왔습니다. 즉, 목표를 기록하고 ‘어떻게?’라는 질문에 도출된 여러 답 중 하나를 골라 실천하고, 실천 과정에서 어려움에 맞닥뜨렸을 때 다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숙고하는 일련의 반복을 경험했습니다.

목표나 질문을 적고 당장 다른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일단 적으면 그 다음부터는 내가 아니라 목표와 질문이 나 대신 일을 합니다. 내 역할은 목표와 질문에서 파생되는 여러 생각을 다시 잘 기록/분류·선별/실행하고, 그 결과를 종종 리뷰하여 업데이트 한 후 다시 실행에 반영하는 것입니다.2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숙련된 장인이 칼을 만들 때처럼, 처음에는 모호했던 목표나 질문, 실행과정 등이 점점 구체적이고 예리하게 변하면서 목표 달성의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문제나 질문을 어떻게 적어야 할지조차 막막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아래 황금질문을 사용해 보세요.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 - 내 머릿속 비우기에서 발췌

이후 성급하게 답을 구하려 하지 말고 인내를 갖고 여러 답을 기록하며 기다립니다.3 좋은 답은 자신만이 아는 것이고, 좋은 답을 찾았다는 생각이 들면 지체없이 실행에 옮깁니다.

관련 메모


  1. 라이브아카데미로 영어회화 제대로 훈련하는 방법, 영어회화독학 - YouTube 12분 지점 

  2. “사실을 노트에 적기만 해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세상의 여러 정보 중에서도 특별히 흥미롭다 느껴 메모해놓은 사실을 반드시 한 번은 다시 봐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 얻은 깨달음을 일반화하고 행동으로 전용해야 한다.” - 메모의 마법에서 발췌 

  3. “만족화란 미해결 상태나 문제 상태(다시 말해, 알지 못하는 상태)를 너무나 불편하게 여겨, 그 불편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첫 번째 답으로 성급하게 뛰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일단 뭐라도 답을 정하고 나면 우리는 거기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 탁월한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서 발췌 

Notes mentioning this note


Here are all the notes in this garden, along with their links, visualized as a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