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와 부캐의 접점을 찾는 법

It’s okay to go spend all your time in one room for a season of your life, maybe even a few… But I think it is just so important to make sure that those other rooms are available to you. 인생의 한 시즌, 어쩌면 몇 시즌 동안 한 방에서 모든 시간을 보내는 것은 괜찮습니다. 하지만 다른 방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Brad Stulberg On The Science Of Transformation 24분 지점

인터뷰이로 나온 Brad Stulberg는 정체성을 집에 비유하면서 집 안에 여러 방이 있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즉, 변화하는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특정 방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이동할 수 있는 다른 방이 필요합니다.

이만하면 충분한 직업_일하기 위한 삶에서 삶을 위한 일하기로라는 글에서 말했듯이 이러한 생각은 자기복잡성 개념과 관련 있습니다. 내 정체성을 이루는 여러 방을 가진 사람은 하나의 방을 가진 사람보다 자기복잡성이 높은 것이고, 이는 역경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합니다.

하지만 상식적인 수준에서 생각해 보더라도, 단순히 자기복잡성이 높다고 해서 탄력성이 좋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통합성이 결여된 자기복잡성의 극단적인 예가 해리성 정체감 장애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자기복잡성과 통합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을까요. 아래 인용한 문장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회사 양동이와 내 양동이 사이에 파이프(접점)를 연결하자. - 출처: 에너지 관리 - 분석맨의 ‘두 번째 뇌’

저는 심리학자로서 제 일을 좋아하지만 그것이 제 삶의 전부가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래서 몇 년 전부터 영어공부를 꾸준히 해왔고, 이제 영어공부는 제 직업만큼이나 제 정체성의 주요한 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다만 심리학자로서의 저와 영어공부하는 저 사이에는 접점이 있습니다. 즉, 전공 서적을 읽을 때 번역된 책을 보기도 하지만 원서로 읽을 때도 많습니다. 일에 필요한 지식을 얻으면서 독해 능력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을 한동안 애용했습니다. 지금은 일반 독자에게 심리학 지식을 알리기 위해 뉴스레터를 발행 중이며, 심리학에 연관된 영어 팟캐스트 에피소드를 활용합니다. 하루에 대략 30~40분 정도 리스닝하면서 전공과 영어공부의 접점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글 쓰는 나’ 또한 저의 핵심 정체성 중 하나입니다. 요즘에는 전공 관련 글을 잘 쓰지 않지만, 전공 관련 브런치북을 쓴 바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정체성을 이루는 다양한 캐릭터 간의 접점을 찾으려는 시도가 통합된 자기복잡성을 계발하는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고 봅니다.


덧: 저는 횡적인 수준에서의 접점 찾기를 말했으나, 이 뉴스레터의 첫 번째 꼭지는 미래자기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현재 직무 중 더 발전시켜야 하는 기술을 찾을 것을 강조합니다. 미래에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상상하고, 현재 하는 일 중 그와 관련된 것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발전시킨다는 내용입니다. 종적인 수준에서의 접점 찾기도 통합된 자기복잡성을 계발하는 좋은 방법 같아서 소개합니다.

Notes mentioning this note


Here are all the notes in this garden, along with their links, visualized as a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