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 글쓰기에서의 창조력이란
Last updated on September 25, 2023
Created: 2022-08-14
글쓰기에서의 창조력이란 이보다는 재료를 모으고 모은 재료의 ‘조각’을 선택하고 각 조각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말한다. 우리의 내용에 관한 생각을 많은 재료로 세우지 않는 한 우리는 창조적일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재료를 모으는 훈련에 많은 시간을 들일 필요가 있다.
References
생각
메모를 모으고 알맹이만 남기는 과정이 글쓰기의 팔할. 나머지 이할은 말이 되게 연결하는 것.
연결
[[ P - 메모 모아 글쓰는 것은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놓는 것 ]]
[[ P - 메모를 연결하는 한 가지 방법 ]]
[[ P - 메모 작성 시 비슷한 메모를 참고 ]]
[[ P -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노트 연결 ]]
[[ P - 창조력이란 ]]
Notes mentioning this note
Start Here
글쓰기의 목적은 살아남고 이겨내고 일어서는 것이다. 행복해지는 것이다. - < 유혹하는 글쓰기 > 중에서
Please enable JavaScript to view the comments powered by Disqus.
Here are all the notes in this garden, along with their links, visualized as a graph.
14. 지속가능한 룰을 정하고, 자신과의 약속을 철저히 지켜라 19. 꾸준함이 답이다 2 P - 현재 지점에서 약간 더 높은 지점을 목표로 삼으며, 높은 지점에 도달하여 전략이나... P - 90점 미만인 것은 우선순위에서 지운다 P - ADHD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억제하는 능력의 부족과 관련 P - Tiago Forte의 세컨드 브레인 정의 P - fixed mindset도 나름의 존재 이유가 있고,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하며... P 가면 증후군 지닌 사람이 더 공감적이고 유능하다고 평가됨 P - 가설은 잠시 잊고 상담 회기에 집중한다 P 가치 있게 여기는 일에 시간을 사용하는 사람이 부자 P - 가치 있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가능케 하는 메모 습관 P - 가치 있는 것은 스트레스와 고민 속에서도 만족감을 준다 P 감정 명명의 진정 효과 P - 감정 반응은 우리의 구성 작품 P 개념 지도를 통한 시각화의 이점 P 겸손함을 갖고 계속 일할 수 있게 하는 가면 증후군의 이점 P 경험회피 P - 고통까지는 아니더라도 불안정이 삶의 디폴트 P 공간적 사고가 추상적 사고를 보완함 P 과제의 성과와 자신을 분리하여 실패해도 수용하는 것이 자신감 P - 글쓰기에서의 창조력이란 P - 글쓰는 행위는 담아내어 견디는 과정이다 P - 글을 쓰고 주장을 뒷받침하는 노트를 찾는 것도 방법 P - 글을 쓰며 생각을 발전시키는 상향식 글쓰기 P - 긍정적 반추는 작업기억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P 기록은 과거의 나와 미래의 나를 연결시키는 적극적 행위이다 P - 기술적 파괴와 생태학적 붕괴의 암울한 전망 P - 기억하기 위해서는 지엽적인 부분은 잊을 수 있어야 한다 P 꾸준히 오래 하는 사람이 살아남는다 P - 끈기는 실패를 유용한 정보로 만든다 P - 나가떨어지지는 않을 만큼의 스트레스가 배움을 최적화한다 P - 날마다 버림으로써 중요한 것만 남긴다 P - 날마다 유창하게 될 것이라고 믿어야 그렇게 된다 P 낭비되는 시간을 의미 있는 행동으로 채워 넣기 P 뇌는 생각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신체 예산을 관리하기 위해 진화 P - 누구나 따라야 하는 정해진 길은 없다. 충족감을 주는 각자의 길이 있을 뿐이다 P 누적적 삶과 수행성 P - 더 나은 내가 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의 영어공부 P - 동기가 높든 낮든 자기규율을 따른다 P - 동기는 To-do 리스트를 만들고 데드라인을 설정한 결과이다 P - 동기를 아는 것이 삶의 방향 설정에 중요하다 P 동일시 동기(identified motivation)가 가치 있게 여기는 일의... P 디스크탈출증이 통증의 원인인 경우는 거의 없다 P -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의 한 가지 기능은 과거의 기억을 소환하여 미래를 대비하는 것 P 때로는 아무것도 하지 말고, 그저 그 상황 안에 버티고 있는 게 나을 수도 있다 P - 때로는 예측이나 판단이 불가하다는 것을 견딜 수 있어야 해결의 실마리를 얻는다 P 라이팅을 많이. 많이 쓰면 스피킹 시 모르는 부분이 어딘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P - 마음챙김 훈련은 마음을 위한 푸시업 P 마음챙김은 걱정과 불안을 줄임으로써 통제감을 되찾고 시야를 확장 P - 마인드원더링을 줄이는 주변정리의 힘 P 머리를 쓰지 않으면 내 것으로 소화되지 않는다 P 메모 열 개가 안 되는 책은 리뷰하지 않는다 P - 메모의 목적은 정보 전달이 아니라 지식 생산이다 P 메타인지로서의 메모 P - 모든 일의 시작은 왜(why)에서 출발한다 P - 목록을 늘어놓은 후 분류함으로써 초점을 좁혀 나간다 P 목표 달성에서 얻는 큰 기쁨보다 과정에서 얻는 작은 기쁨들이 중요 P - 목표추구에 부합하는 습관의 지속은 회복력을 강화한다 P 무조건 반복이 답이다. 혼잣말 반복하며 주기적으로 외워 장기기억으로 P 미래에 내가 어떤 사람이 될지 나로서는 예측할 수 없음을 받아들이라 P 미래자기와의 연결이 강할수록 현 시점에서 더 나은 판단이 가능 P 받아들임이란 P 배운 것을 자기말로 소화하는 글쓰기는 효과적인 학습법이다 P - 뱀이 허물 벗듯이 사례개념화도 새로운 정보에 맞게 변화를 거듭해야 함 P - 불순한 동기라도 괜찮다 P - 불확실성은 부정적, 긍정적, 중립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P - 불확실성은 위험의 원천이지만 보상의 원천이기도 하다 P 불확실성을 받아들일수록 걱정도 줄어듦 P - 블로그는 청중을 향하는 공간이라기보다 자신의 생각을 키우는 공간이다 P - 사고의 발전이 있으려면 일단 써야 한다 P 사업의 타깃을 구체적으로 그려라 P - 삶은 직선적이지 않음 P - 삶을 충실히 살기 위한 주의조절 P 삶의 많은 부분에서 불편함은 불가피하고, 이를 직시하고 수용하면 덜 불편할 수 있다 P - 삶의 많은 부분에서 불편함은 불가피하고, 이를 직시하고 수용하면 덜 불편할 수 있다 P - 삶이 내게 건내는 물음에 응답하라 P - 생각의 확장은 긍정적 기분에 연관된다 P 생각정리를 통해 작업기억의 메모리가 충분해야 생각을 잘한다 P - 생산성의 덫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시간에 대한 관점을 나 중심에서 내가 속한 장소와... P 성공 과정에는 우리의 위엄과 긍지에 대한 포기도 포함 P 성공에 대한 아무 보장이 없을 때조차 꾸준히 노력 P 성공의 3요소 P 수용할 것과 전념할 것을 분별하는 인지적 유연성이 필요 P - 스스로에 대한 질책과 연민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P 스피킹과 라이팅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방식으로 인출을 어렵게 만든다 P - 시간은 한정적이고 2순위 목표에까지 할애할 시간은 없다 P 시간을 잘 활용하려면 일의 진행 과정을 기록 P 신체 예산(body budget)의 의미와 함의 P - 실수하며 어렵게 배워야 내 것이 된다 P 아웃풋을 내는 게 중요 P - 악조건 속에서도 가치 있는 행동에 전념할 수 있게 돕는 마음챙김 P - 어떤 감정에 놓여 있든 하고자 하는 일은 한다 P -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가 아니라 어떤 인생 이야기를 써내려 가는지가 중요 P 언어학습에서 당신은 어떻게 즐거움을 유지할 것인가 P 에베레스트를 오르면서 스트레스 안 받기를 바라는가 P - 열정은 좇는 대상이 아니라 설계의 대상이다 P - 영어 공부의 목적에도 위계가 있고, 가장 상위의 목적은 스스로의 Best... P 영어는 성취보다 과정이다 P 영어로 뭐라도 쓰다 보면 는다 P 영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일상언어를 수집하여 저널에 반영 P - 우리의 믿음은 현실이 아니다 P 우울을 완화하는 언어학습, 행동활성화 관점에서 P - 위계적 아웃라인보다 토픽 수준의 아웃라인으로 글을 쓴다 P - 유능한 상담자란 P - 유용한 자기기만이자 창작으로서의 방어 P 유창성은 맥락의존적 P - 의미 있는 것들은 대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 P 의미 추구는 야심 찬 목표에 연관되며 불안을 수반하기 쉬움 P 이 신념이 내 삶에 유용한가 P 이상적 자기가 할 것 같은 구체적 행동을 모니터링 P - 이전에 누가 했던 말일지라도 못 들은 사람이 있으니 또 하는 것이 의미 있다 P - 읽고 쓰는 것이 곧 성찰의 양이다 P 자기 이야기로 풀 때 가장 효과적으로 언어 습득 P 자기고양과 대의는 상충하지 않는다 P 자기비판은 통증에 연관된 뇌 부위를 활성화 P 자기의심과 비판을 견뎌낼 수 있어야 유능해짐 P - 자기자각과 마인드원더링의 관계 P - 자기중심적 사고와 탈자기중심적 사고의 사이에서 P - 자신에게 최적의 전략이 무엇인지 시행착오적으로 알아내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P - 자신의 주의에 주의를 기울이라 P - 자신이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고 있다고 믿는 것은 환상이다 P 자유의 공간으로서의 세컨드 브레인 P - 작은 성공 경험이 많을수록 동기 수준이 증가하여 큰 일에서도 성공 가능성이 높다 P - 전문성은 유전이 아니라 연습의 질과 양에 비례 P - 정말 몰두하고 싶다면 시간을 낭비해야 한다 P - 정보가 쌓여갈수록 핵심만 남기고 지우는 과정이 중요 P - 제텔카스텐은 곧 효율적인 학습 방식과 같다 P 존 사노의 스트레스 정의 P - 좀 못나 보여도 괜찮아 P - 좋아하게 만들려다 싫어하게 만드는 것이 실패입니다 P - 좋은 글을 남기고 자식과의 좋은 관계를 남긴다 P - 좌절감 또한 과정의 일부 P 주의력과 충동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메모 P - 중년에도 저마다의 창의적인 방식으로 성격 발달은 계속 된다 P - 즉각적인 감정 반응은 합리적이다 P - 지금 당장 잘하는 것을 찾지 못하더라도 어제보다 더 나은 자신이 되기 위해 좋은... P - 지금 삶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대안이 무엇일지 생각하라 P 지금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처 방법을 실행하는 신호로서 걱정을 활용 P - 지식체계 구축이라는 목적은 모든 경험을 학습의 기회로 만든다 P - 질문을 중심으로 메모를 엮는다 P 창의력은 아웃풋 빈도에 연관 P - 창의성은 좋은 작업 습관의 결과 P - 창의성은 좋은 작업 습관의 결과 P - 창의성의 두 차원, 인지적 유연성과 인지적 끈기 P - 창의적 사고를 위해서 현재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들을 정리함으로써... P - 창작 과정이 다른 사람에게도 의미가 있다면 그것 자체가 큰 보상 P 책을 다 이해하려 하지 말고 마음이 동한 포인트만 기록 P - 책의 내용을 내 것으로 소화하는 법(분석적 읽기) P 책임감 강하고 완벽주의적이서 걱정과 분노가 많은 사람이 통증에 취약 P - 최고의 생산성은 쓸데없는 일을 줄이는 것 P - 최선을 다하되 아주 많이 실패할 가능성도 있음을 늘 인지한다 P - 충족감을 주는 일을 꾸준히 선택하며 우수성을 키운다 P 콘텐츠 사업자라면 매일 한 개의 포스팅 P - 큰 돈 안 드는 재미난 취미를 지속하는 것이 최고의 노후 대비 P 탁월함은, 너무 잘하려 하지 말고 적당히 하되 반복에 반복 거듭한 결과 P 통증과 분노의 상관 P 통증과 함께 앉아 있으라 P 통증은 스트레스가 되는 실제 요인을 보지 못 하게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처리 P - 틀려도 많이 영작해보는 것이 좋다 P 팬데믹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영국 프리랜서 음악가의 대처 방법 P 퍼스널 브랜딩은 자신이 원하는 방향이 아니라 다른 세 사람이 당신에게 기대하는 데서... P - 품위란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P - 할 수 있는 것을 하고 결과는 내려 놓는다 P - 현 순간에 주의를 맞출 수 없게 하는 정신적 시간 여행 P - 현재 느끼는 부정적 감정들도 소중하다 P 호기심 자아내는 새로운 활동의 추구는 불확실성이 자아내는 걱정을 완화 P 확연히 발전한 자기를 만나는 기쁨 P 후회는 자기중심적 감정인 동시에 타인중심적일 수 있음 P - 후회를 미래 행동의 동기로 삼는다 P - 힘들지만 하기로 했으니 그냥 하는 것 52주 동안 매주 한 편의 글을 쓸 수 있었던 이유(개요) 불확실한 상황에서 버텨내는 법(개요) 2022년 습관 결산 How to spend our time more meaningful way My 2022 annual review O 52주 동안 매주 한 편의 글을 쓸 수 있었던 이유 O - ADHD의 관점에서 본 개인지식관리(Personal Knowledge... O - The ‘purposive’ man - 현재를 살지 못하는 이들을 위한 변명 O - 강박과 열정 사이 O 굶주린 물고기의 전투력이 상승하는 이유 O - 글쓰기의 부담을 줄이는 법글을 쓰는 이유를 명확히 하기 O - 기분이 울적하거나 마음이 산란할 때 글을 써야 하는 이유 O - 납치당한 주의력을 되찾아 분별력을 키우는 법 O - 내가 틀렸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 O - 단출한 삶의 이점유연함과 명확함 O 돈이 되는 콘텐츠를 꿈꾸기 전에 흥미유지와 노력지속 O - 듣는 귀를 지닌 수도사처럼 O - 마음챙김하며 영어공부 O - 미라클모닝은 어떻게 미라클해지나 - 인지적 유연성과 통제감 강화 O - 보통 사람의 보통 아닌 끈기 O 불확실성을 견딜 만하게 해주는 도구상자를 소개합니다 O 블로그를 통해 꾸준히 글을 써야 하는 이유(feat 매일 아침 써봤니) O - 성장 마인드셋 + 꾸준한 의도적 연습 = 전문성 O 소원을 적어봐 O - 스스로가 구성하는 작품으로서의 감정 경험 O - 스트레스가 도움이 될 때 O - 써야 하는 사람은 써야 한다 O - 아직도 의지력을 탓하는 당신에게 O - 앞으로 이 행복이 몇 번이나 남았을까 O - 어느 프리랜서가 불확실한 상황을 버텨나가는 방식 O - 영어 스피킹 훈련의 동기를 찾기 어려울 때 O - 영어공부 회의감이 밀려올 때의 셀프 마음 처방 O - 영어공부의 최적점을 찾아서 O - 옵시디언(Obsidian)을 활용한 상향식 글쓰기의 매력 O - 왜 잡생각이 많게끔 진화했을까 O - 울고 싶지만 영어공부는 하고 싶어 O - 유연한 마음의 극치(peak mind)를 가능케 하는 메모 습관 O 인간을 움직이는 힘으로서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O - 자기계발서를 고르는 한 가지 방식 O 자주 쓰면 창의적 글쟁이가 된다는데, 어떻게 자주 쓰는 걸까 O - 장기적인 직업 불안정성과 성격 변화 O 주의를 붙드는 생각의 지도 O - 주의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세컨드 브레인 O - 중년은 위기의 시기가 아니라 고통에서 아름다움을 빚어내기 좋은 시기 O 중심을 바로 서게 하는 지속의 힘 O - 직업에서 열정적이지 않아도 괜찮아 O - 창의성도 습관이다 O - 품위 있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O 행복으로 가는 우회로를 찾아서 가면 증후군에 대처하는 자세, 자기의심이 들 때 그저 해야 할 일을 하되, 너무 잘하려... 감정조절의 관점에서 본 지연행동(procrastination) 결승점이 없는 영어공부에서 어떻게 계속 달릴 수 있을까 관절염은 날씨와 관련이 있을까 글쓰기는 질보다 양 금슬 좋은 부부의 공통점은 예측 가능성 기록에 날마다 56분을 쓴 이유 꾸준히 글 쓰는 실용적 비법 네 가지 당신의 자유시간 1시간은 얼마입니까 때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최선일 때도 있다 만성 통증을 완화하는 자기연민의 힘 미래의 내가 오늘을 산다면 어떻게 살까 불안할 때는 걱정거리를 글로 적으세요 생각과 감정은 하차시킬 수 없어요 어느 메모광이 일상에서 메모하는 방식, 한 주 간의 기록(2023.04.06... 억압된 감정과 지속되는 통증 사이의 연관성 언어 학습에서 유창성의 정의는 학습 목표가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짐 언어 학습의 항우울 효과 영어가 트이는 내향형 인간의 영어 글쓰기 비법(feat 인공지능) 영어공부 6년차인데 내 영어 왜 이 모양일까 영어공부에서 긍정적 자기확언의 힘 영어공부에서 마음챙김의 중요성 영어공부의 꿀맛을 느끼는 비결을 알려드립니다 유창하게 리스닝 하기 위한 3가지 방법 의미 추구와 고통 이만하면 충분한 직업일하기 위한 삶에서 삶을 위한 일하기로 인공지능이 현 노트와 유사한 다른 노트를 보여주면, 그 노트 중 일부를 연결하여 글을... 전속력으로 달려야 이륙할 수 있나요, 느리더라도 꾸준히 학습할 때 내 영어가 날아 오릅니다 지구마블에서 프리랜서 생존법을 배우다 책을 어떻게 읽어야 기억에 더 잘 남을까, 키워드 세 개만 남기고 다 버린다 커리어와 부캐의 접점을 찾는 법 CHAPTER 10 Commitment and Commitment Strategies CHAPTER 11 Behavioral Chain Analysis CHAPTER 12 Validation CHAPTER 8 Dialectical Dilemmas and Secondary... CHAPTER 9 Case Conceptualization in DBT Index of Chapters J - 2022.03.28 J - 2022.04.02 J - 2022.04.11 J - 2022.04.18 J - 2022.04.25 Four Thousand Weeks by Oliver Burkeman When You Trap a Tiger by Tae Keller 다크호스 by 토드 로즈, 오기 오가스 Start Here P -